교육

#1
교욱의 존재이유는 성장.
과거에는 성장을 위한 교육이 삶의 곳곳에서 이뤄졌지만, 이 시대에 성장을 독점한 곳은 학교.

상실과 자기세계의 붕괴 없이는 성장도 없다.

#2
그러나 학교는 성장의 핵심이 무엇인지, 교육은 그것을 어떻게 경험케 할 수 있는지에 대해 관심이 없다.
한국의 교육은 학생들의 성장을 위함이 아닌, 대학입학을 위한 도구적 공간일 뿐.

-학교는 아이들의 말을 듣지도/믿지도 않으며
-학교에서의 폭력과 억압은 너무나 일상적이며
-교사의 의견은 그 외의 관계에서도 진리와 기준으로 여겨졌으며
-결정적 순간에 무책임으로 반응하는 곳이며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기 보다 나를 평가하는 사람의 눈치를 보는 것이 더욱 중요하게끔 하며
-심지어 '열린교육'이라는 이름으로 무조건 말해야할 강요가 이뤄지며
-공부를 잘하는가에 따라, 집이 잘 사는가에 따라, 힘이 센가에 따라 촘촘하게 위계화되어있고, 그에 따라 폭력마저도 정당화 되는(계급적 폭력) 정글이다.

#3
폭력적이지 않은 교육이 가능한가

영화 속 P짱은,
-일방적인 관계
-스스로 삶을 선택할 수 없는 존재
-생명의 위계화
-분류, 배치되는 방식에 따라 가변적 위치를 갖는
안타까운 돼지다.

그리고 이것은 '생명'을 가르치려는 '교육'의 이름으로 일어났다. 우리가 교육이라는 이름으로 생명을 다루는 방식은 두려움이 아니라 잔인함인 것이다.

학교라는 공간에서 이뤄지는 교육-이 사회가 요구하는 몸과 마음을 만들어내는 훈육-이 과연 강요와 폭력에서 벗어날 수 있는가.


* 함께 생각해보고 싶은 질문들

1. '자기세계의 붕괴'를 통해 '성장'한다고 하였는데, 죠이공동체를 통하여 이 일들이 일어나고 있는가?

2. '교육이 존재하는 이유는 성장 때문이라'는 저자의 말에 동의하는가? 동의하지 않는다면 교육의 존재이유, 목적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3. 책에 나오는 부모와 선생님의 모습에서 우리의 모습은 혹시 없는가? 생명으로 보기보다 통제하고 일방적으로 이끌어야할 대상, 혹은 나의 목적을 위해 강요해야할 대상으로 여기고 있지는 않았는가? 혹은 나의 의견이나 결정이 그들에게 진리와 기준으로 여겨지길 바라지는 않았는가?

4. 우리가 속한 공동체 내에도 권력관계가 존재하는가? 우리는 그것에 어떻게 반응할 수 있을까?

5. '교육', 나아가 '사랑'마저도 강요이자 폭력이라는 저자의 이야기에 동의하는가? 올바른 사랑, 올바른 교육은 어떻게 이뤄질 수 있을지 이야기해보자.

설정

트랙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