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1
교욱의 존재이유는 성장.
과거에는 성장을 위한 교육이 삶의 곳곳에서 이뤄졌지만, 이 시대에 성장을 독점한 곳은 학교.

상실과 자기세계의 붕괴 없이는 성장도 없다.

#2
그러나 학교는 성장의 핵심이 무엇인지, 교육은 그것을 어떻게 경험케 할 수 있는지에 대해 관심이 없다.
한국의 교육은 학생들의 성장을 위함이 아닌, 대학입학을 위한 도구적 공간일 뿐.

-학교는 아이들의 말을 듣지도/믿지도 않으며
-학교에서의 폭력과 억압은 너무나 일상적이며
-교사의 의견은 그 외의 관계에서도 진리와 기준으로 여겨졌으며
-결정적 순간에 무책임으로 반응하는 곳이며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기 보다 나를 평가하는 사람의 눈치를 보는 것이 더욱 중요하게끔 하며
-심지어 '열린교육'이라는 이름으로 무조건 말해야할 강요가 이뤄지며
-공부를 잘하는가에 따라, 집이 잘 사는가에 따라, 힘이 센가에 따라 촘촘하게 위계화되어있고, 그에 따라 폭력마저도 정당화 되는(계급적 폭력) 정글이다.

#3
폭력적이지 않은 교육이 가능한가

영화 속 P짱은,
-일방적인 관계
-스스로 삶을 선택할 수 없는 존재
-생명의 위계화
-분류, 배치되는 방식에 따라 가변적 위치를 갖는
안타까운 돼지다.

그리고 이것은 '생명'을 가르치려는 '교육'의 이름으로 일어났다. 우리가 교육이라는 이름으로 생명을 다루는 방식은 두려움이 아니라 잔인함인 것이다.

학교라는 공간에서 이뤄지는 교육-이 사회가 요구하는 몸과 마음을 만들어내는 훈육-이 과연 강요와 폭력에서 벗어날 수 있는가.


* 함께 생각해보고 싶은 질문들

1. '자기세계의 붕괴'를 통해 '성장'한다고 하였는데, 죠이공동체를 통하여 이 일들이 일어나고 있는가?

2. '교육이 존재하는 이유는 성장 때문이라'는 저자의 말에 동의하는가? 동의하지 않는다면 교육의 존재이유, 목적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3. 책에 나오는 부모와 선생님의 모습에서 우리의 모습은 혹시 없는가? 생명으로 보기보다 통제하고 일방적으로 이끌어야할 대상, 혹은 나의 목적을 위해 강요해야할 대상으로 여기고 있지는 않았는가? 혹은 나의 의견이나 결정이 그들에게 진리와 기준으로 여겨지길 바라지는 않았는가?

4. 우리가 속한 공동체 내에도 권력관계가 존재하는가? 우리는 그것에 어떻게 반응할 수 있을까?

5. '교육', 나아가 '사랑'마저도 강요이자 폭력이라는 저자의 이야기에 동의하는가? 올바른 사랑, 올바른 교육은 어떻게 이뤄질 수 있을지 이야기해보자.

설정

트랙백

댓글

정치 혹은 민주주의

#독서하다(일반) 2014. 3. 25. 01:14
#1
지금의 대학생들에 대한 기성세대의 비판
"청춘을 민주주의를 위해 바쳤던 우리와 달리, 너희는 탈정치화 되었다."
"너희는 우리가 지켜낸 민주주의라는 것이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를 모르고 있다."

집단행동을 통해 현실을 바꾸려 하기는커녕 혼자서만 잘 살아보겠다는 이들의 몸부림을 비겁하고 초라하다는 눈으로 응시.

그러나,
이들은 민주주의가 중요하다는 것을 잘 안다.
또한 민주주의를 언어화함으로써 자신들이 정치적으로 정당화될 수 있다는 사실도 안다.

이들이 민주주의를 대수롭지 않게 여긴다는 진단은
틀렸다.

#2
이들은,
'바꿔봤자'임을 안다. 이는 역사에서 검증된 사실.

민주주의와 혁명은 아이러니한 정치적 서사. 민주주의는 민중이 주인이라며 민중의 '가치'를 한껏 추켜세우지만 사실은 민중을 '선동'하는 언어에 불과.
이미 쇼는 정치, 정치는 쇼.

#3
정치의 본질에 대한 불신과 냉소
_이들은 정치가 우리 삶을 구원하지 못한다는 걸 너무 잘 알고 있다. 그래서 희망을 약속하는 그 모든 정치적 언어를 불신한다.

1) 아직은 가치에 대한 믿음을 저버리지 않은, 다만 가치가 배반당한 현실에 던지는 냉소주의
"그럼에도 불구하고/그렇기 때문에"
: 지젝_ 모두가 모든 것의 본질을 알아버렸다고 생각하는 시대에 이데올로기는 더 이상 '앎'의 영역에서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실천'의 영역에서 작동한다. >>사람들이 무엇을 알고, 무엇을 모르고 있는가가 아니라, 그래서 무엇을 하고 있는가에 초점 맞춰야.

2) 믿음이 없는 냉소주의
"그래서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
: 정치의 속성(사기)을 너무 잘 알아서 정치에 무감각해져버렸고 정치가 주창하는 모든 가치에 냉소적이 되어, 본질을 알기 때문에 자세한 것들을 알아볼 필요도 없다는 태도.

기성세대는 '그러면'의 막연한 희망의 언어가 아닌 '그럼에도 불구하고'의 실천의 언어를 이야기했어야 했다.

#4
then, 이들은 언제 정치적으로 움직이는가?
-정치가 오락이 되거나
-정치가 오락을 방해할 때

냉소에 맞서는 것은 진정성이 아니라 재미, 오락.
이들은 시민이 아닌 게이머로서 정치에 참여.
민주주의가 우리를 구원하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알면서도' 그 자체가 오락이 될 때 움직인다.

그런데도 정치에 참여하라고 독려하는 우리의 언어는 '도덕적' /'그래서'

우리는 민주주의를 지나치게 절대적 가치로 고정해놓고 도덕적으로 사용하다가 정치가 도덕이 되어 버리는 바람에 '도덕'을 전면에 내세운 보수주의자들에게 역습을 당한 것이다.

대학생들의 탈정치화가 아니라
우리가 일조한 정치의 도덕화가 문제이다.

함께 생각해보고 싶은 질문

1. 우리는 학생들에게 '그럼에도 불구하고'를 말하고 있는가 '그래서 아무것도 하지마라'를 말하고 있는가.

2. 우리는 학생들의 '앎'에 집중하는가 '실천'에 집중하는가.

3. <복음주의 '학생'운동>을 주창하는 우리 간사들은 실제로 그들을 어떻게 대하고 있는가.

4. 우리는 '복음'을 지나치게 절대적 가치로 고정해놓고 사용하다가 도리어 '복음'을 정죄의 도구로 사용하는 자들에게 역습을 당하지는 않고 있나.

5. 복음(목적)을 위하여, 복음적이지 않은 과정이 정당화될 수 있는가.

설정

트랙백

댓글